Canvas of Bliss

전 시간에는 Git에 대한 설명과 설치방법을 알아보았다면, 이번 시간에는 Git을 사용하기 위해 환경 설정하기를 알아보자. Git은 버전을 저장할 때마다 그 버전을 만든 사용자 정보도 함께 저장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전에 먼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이를 통해 어떤 버전을 누가 언제 만들었고 수정했는지 알 수 있다.

(속히 말해 어떤 사람이 잘못 코딩하여 에러가 났는지 탐정이 될 수 있다.)

 

1. Window = Git bash / Mac = 터미널 창을 연다

2. 사용자 정보를 설정하기 위해 git config 명령을 사용한다.

3. --global 옵션을 추가하여 현재 컴퓨터에 있는 모든 저장소에서 같은 사용자 정보를 사용하도록 설정한다.

4. 사용자의 이름과 메일 주소를 저장한다.

정상 실행 화면

 

에러 목록들(띄어쓰기 등)

이후 GitBash에서는 운영체제 상관없이 리눅스 명령어를 사용한다.

 

<Linux 명령어 정리>

 

$ pwd 현재 위치의 경로
$ ls 현재 디렉터리(폴더)에 어떤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있는지 확인
$ clear 화면 깨끗히 정리
$ ls -a/-l/-r/-t 숨김파일 확인/상세정보 표시/정렬순서거꾸로/작성시간 순 정렬
$ cd 경로 경로 위치로 이동 (ex. $ cd /c/users c드라이브-users 파일로 이동)
$ cd.. 상위 폴더로 이동
$ mkdir 하위 폴더 생성 (ex. $mkdir von von이라는 폴더 생성)

 

'개발 공부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사용법 4  (0) 2020.07.24
GitHub 사용법 3  (0) 2020.07.24
GitHub 사용법  (0) 2020.07.24
Git/GitBash  (0) 2020.07.23
GitHub 중요성  (0) 2020.07.23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