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분투(Ubuntu) - VirtualBox
우분투는 데비안(Debian) 리눅스를 기반으로 제작된 리눅스입니다. 4월과 10월에 한번식 메이져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xx.04 와 xx.10이 나누어지는 것이 발표된 달에 붙는 숫자입니다. xx는 배포된 년도를 나타냅니다. 그리고 또 5년의 지원 기간을 가진 LTS(Long Term Service) 버전을 짝수해 상반기에 내놓습니다. LTS버전이 아닌 것의 지원기간은 9개월이며 9개월이 지나면 업그레이드를 하거나 새버전으로 설치를 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 장점
리눅스를 처음 접해도 설치가 간단하도록 배포를 합니다. 파티션을 설정하는 것만 신경쓰면 클릭 몇번으로 설치가 가능합니다.
Unity라는 독자적인 데스크톱 환경을 제공합니다. 별다른 설정이 필요없을 정도로 간결한 데스크탑 환경입니다.
국내에서도 많은 사용자가 있고 사용자 모임포럼이 활발하게 활동을 하고 있어 정보를 얻기가 쉽습니다.
☆ 단점
LTS버전을 사용하지 않는 한 6개월마다 대대적인 업그레이드를 해주어야 합니다.
Unity의 경우 호불호가 갈리는 데스크탑 환경입니다.
LTS버전이어도 최신버전과는 차별이 있습니다.
2. 센트OS(CentOS) - VMware
유료 리눅스인 레드햇 엔터프라이즈를 그대로 빌드하여 상표권만 제거한 리눅스가 센트OS 입니다. 그만큼 안정적이고 레드햇의 기술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장점
레드햇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안정적입니다.
☆단점
레드햇의 지원을 받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커뮤니티 단위의 지원을 받게되며 레드햇 자체의 프로그램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 VMWARE 사용하여 리눅스 작업 환경 만들기 (0) | 2020.07.30 |
|---|---|
| 가상머신(VirtualBox) 이용하여 리눅스 개발 환경 만들기 1 (0) | 2020.07.30 |
| 리눅스 설치방법 (0) | 2020.07.29 |
| 리눅스의 특징 및 장단점 (0) | 2020.07.28 |
| 리눅스 서버구축 (0) | 2020.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