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vas of Bliss

용어정리 

호스트 컴퓨터 : 지금까지 사용해 온 컴퓨터

호스트 OS : 컴퓨터에 설치된 운영체제

게스트 컴퓨터 : 가상머신

게스트 OS : 가상머신에 설치된 운영체제

 

 

1. C드라이브에 폴더를 생성 IOTOS(가상머신이 저장될 폴더 생성)

 

2. 그 아래 Client, winClient, Server, Server2 생성

3. Server를 설치할 가상머신을 Server 폴더에 생성

호스트컴퓨터 입장에서는 가상 하드디스는 20GB로 가상머신에게 인식시키면서도 물리적 크기는 10MB정도로 설정 된다. 가상머신에게 20GB짜리 하드디스크로 속이는 효과를 낸다. 이후 가상머신에 운영체제가 설치되면서 실제 용량이 필요해지면 필요한 용량만큼 조금씩 늘어나지만 20GB이상으로는 늘어나지 않는다. 필요하다면 더 용량을 크게 설정해도 상관이 없다.

 

용량을 변경하거나 추가 제거 할 수 있다.

 

바이오 진입을 위해서는 부팅창에서 클릭후 F2를 누른다

네트워크 정보 파악과 변경

 

네트워킹을 위해서는 각 가상머신의 IP주소,서브넷마스크,게이트웨이,DNS서버주소를 알아야한다.

명령 프롬프트에서 ipconfig/all 명령어를 실행한다

 

 

 

 

호스트 OS와 게스트 OS 사이의 파일 전송

-> 파일을 ISO 파일로 만든 후 가상 OS에 CD/DVD 넣어주는 효과 사용

 

ISO파일로 만들어주는 프리웨어

: www.freeisocreator.com  

 

Free ISO Creator

Free ISO Creator - freeware to create ISO image file Free ISO Creator is a free ISO image file creation tool, can help you to directly create an ISO CD-image (ISO 9660, also referred to as CDFS, Compact Disc File System) file from the DVD/CD-ROM or any fol

www.freeisocreator.com

 

CentOS 리눅스를 Server 가상머신에 설치

 

 

다운로드받은 리눅스 ISO를 선택하여 설치한다
다운로드 화면
소프트웨어 선택 - 서버 - GUI 사용 - 워크스테이션
혹시나 나중에 업무 보실때 윈도우 클라이언트에서 리눅스에 네트워크 서버를 구축할 때 필요할지도 몰라 간단하게 내용을 추가했습니다.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