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프로토콜 통신 방식
캡슐화(Encapsulation) : 네트워크 통신(보낼 때)을 할 때 높은 계층에서부터 낮은 계층으로 프로토콜들을 생성하는 과정
디캡슐화(Decapsulation) : 네트워크 통신(받을 때)을 할 때 낮은 계층에서부터 높은 계층으로 프로토콜들을 분석하는 과정 네트워크 프로토콜 구조
[헤더][페이로드][풋터]
페이로드 : 프로토콜 상위계층에서 내려온 데이터
풋터 : 테일이라고도 부르며, 추가적인 정보를 가진 데이터 OSI 7 계층
계층 이름 내용
7 응용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질적인 프로그램, 사용자 인터페이스
6 표현 데이터를 어떤 형식으로 전달할지 정하는 계층 ex) 그림파일(jpeg,png), 압축파일(zip, tar.gz), 일반 텍스트
5 세션 논리적인 연결을 정의하는 계층, 네트워크 장치들간의 연결 설정의 유지 동기화 등을 어떻게 수행할지를 정의
4 전송 포트주소를 이용해서 통신, 오류 제어(신뢰성 유무), 특정 프로그램 간의 통신(웹 브라우저 and 웹 서버)
3 네트워크 IP주소를 이용해서 통신, 전송 경로를 선택하여 어느 경로로 가는 것이 최선인지를 결정, 특정 네트워크를 찾아가는 역할
2 데이터 링크 MAC주소를 이용해서 통신, 특정 네트워크에서 특정 PC를 찾아가는 역할
1 물리 상위 계층에서 캡슐화된 데이터를 bit 단위로 변경, 전기신호로 전송하고 받은 전기신호를 bit단위로 해석하는 역할 2계층 2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 - MAC 주소 MAC 주소 2계층 주소 체계, Media Access Address 물리적인 주소, 헤드웨어 장치 (랜카드=Network Interface Card, NIC)에 부여되어 있는 주소 48bit, 6바이트, (1비트 0 또는 1, 8비트=1바이트) 각각의 NIC마다 전세계 유일한 주소를 가지고 있다. MAC 주소 표기 방식 16진수로 표기하며, (10진수는 0~9로 모든 수를 표현, 16진수는 0~9,A,B,C,D,E,F로 모든 수를 표현) AA:BB:CC:DD:EE:FF 또는 AA-BB-CC-DD-EE-FF 처럼 1바이트마다 :, - 로 구분해서 표기한다. MAC 주소 구성 AA:BB:CC : 앞의 3바이트는 OUI, LAN카드(NIC)를 만들고 해당 NIC에 주소를 부여하는 회사의 고유값 DD:EE:FF : 뒤의 3바이트는 해당 회사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고유번호 2계층 프로토콜 Ethernet 14바이트 목적지 주소 : 데이터를 전달받을 상대방 시스템의 MAC 주소 6바이트 출발지 주소 : 데이터를 전달하는 시스템의 MAC 주소 6바이트 상위 프로토콜 타입 : 2바이트, IPv4(0x0800), ARP(0x0806) 실습 1 - 내 PC의 MAC 주소 확인해보기 시작 메뉴 -> cmd 검색 -> cmd 실행 cmd에서 ipconfig /all 로 확인 실습 2 - Ethernet 프로토콜 캡쳐 wireshark를 이용해서 프로토콜 캡쳐 후 확인해보기 실습 3 - Ethernet 프로토콜 분석 프로토콜의 구조 그림을 함께 보면서 실제 패킷과 비교해보기
멀리있는 컴퓨터끼리 통신 (0) | 2020.08.04 |
---|---|
네트워크 기초 개념 (0) | 2020.08.03 |
정규식 (0) | 2020.07.30 |
쿠키와 세션 (Cookie & Session) (0) | 2020.07.29 |